안녕하세요! 테크지니어22입니다.
오늘은 OSI 7 계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OSI 7계층은 상이한 통신 시스템 간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표준으로 7계층으로
물리계층, 데이터링크 계층, 네트워크 계층, 전송 계층, 세션계층, 표현계층, 응용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각 계층별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.
응용 계층
-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을 하는 계층
- 입력 받은 데이터를 하위계층으로 전달
- 데이터 단위 : 메시지
표현 계층
-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가 이루어지고 데이터의 의미를 해석하는 계층
- ex. 문자열을 아스키코드로 변환
- 데이터 단위 : 메시지
세션 계층
- 컴퓨터 간 연결인 세션의 생성과 유지를 관리하는 계층
- 오류 발생시 복구 역할을 수행.
- 데이터 단위 : 메시지
전송 계층
- 상위계층의 메시지를 나누어 하위 계층으로 전달.
- 데이터 신뢰성 여부 체크
- 데이터 단위 : 데이터 다이어그램, 세그먼트
네트워크 계층
- 패킷을 한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라우팅하는 계층.
- 데이터 단위 : IP 패킷
데이터 링크 계층
- 한 네트워크 요소에서 인접 네트워크 요소로 전송하는 계층.
- 데이터 단위 : Frame
물리 계층.
- 장치 간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계층.
- 데이터 단위 : Bit
예를 들어 Hello라는 메시지를 다른 웹사이트에 전송한다고 해봅시다.
아래는 응용계층부터 시작해서 물리 계층까지 데이터의 캡슐화 작업입니다.
응용 계층
- Hello
표현 계층
- Hello -> 72 101 108 108 111
세션 계층
- header + 72 101 108 108 111
전송 계층
- h 72 + h 101 + h 108 + h 108 + h 111
네트워크 계층
- IP h 72 + IP h 101 ...
데이터 링크 계층
- MAC IP h 72 + MAC IP h 101 ...
물리 계층
- 1101001111 ( 예를 들어서 넣은 임의의 이진수)
캡슐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물리계층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됩니다.
데이터를 받은 상대방은 이와는 정반대의 작업이 이루어집니다.
물리계층부터 시작해서 응용계층까지 올라오면서 역캡슐화가 이루어집니다.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운영체제] 교착 상태(Dead Lock) (0) | 2024.05.07 |
---|